728x90
WebGoat를 도커 컨테이너에 올려 실습을 진행한 후 실습이 마무리 되어 종료하고 다시 실행할 경우에는 어떻게 다시 WebGoat 실습 환경으로 접속할 수 있을까? 그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
1.1 명령어로 재실행
우선 윈도우 파워쉘을 관리자 권한으로 열고, 명령어로 컨테이너를 재시작하기 위해서는 어떤 컨테이너를 가동할지 컨테이너 리스트를 확인해주어야 한다.
- docker ps : 컨테이너의 리스트를 불러오는 명령어
- docker ps -a : 종료된 컨테이너를 포함한 모든 컨테이너 리스트를 출력하는 명령어
가동할 컨테이너의 리스트를 확인했다면 'docker start [가동할 컨테이너의 ID 또는 이름]'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. 우리는 WebGoat를 실행시킬 것이기 때문에 'docker start webgoat'를 입력해주었다.
이후 docker ps로 현재 가동중인 컨테이너의 목록을 확인하니 제대로 작동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.
1.2 Docker Desktop으로 컨테이너 가동
Docker Desktop에서 실행 버튼을 통해 webgoat 컨테이너를 실행시킬 수 있다.
2. 가동 중인 컨테이너 쉘 접근 후 WebGoat 실행
docker attach 명령어를 사용하여 가동 중인 컨테이너의 쉘에 접근하여 명령어 입/출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.그리고 이전 Webgoat 설치 과정에서 사용했었던 방식과 같이 WebGoat 리포지토리에 접근하고
위와 같이 실행시키고 localhost를 통해 WebGoat에 접속해보면
WebGoat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.
728x90
'Security > Web hack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Dreamhack] blind-command write-up (0) | 2024.10.02 |
---|---|
[Dreamhack] web-ssrf write-up (0) | 2024.09.25 |
[WebGoat] 실습 환경 구축하기 (3) | 2024.09.05 |
[웹해킹 기초] Webpack (0) | 2023.09.23 |
[논문 분석] 패스워드 매니저의 클라이언트-서버 통신 취약점 분석 (0) | 2023.02.01 |